습도관리와 '난방트러블(제습트러블)'의 관계
장비명 : 항온항습기 or 공조기
제습방식 : 냉각제습
냉각제습 :
- 공기를 냉각하면 상대습도(*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과 그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의 양과의 비)가 올라 노점(결로)에 달한다.
- 공기를 계속 냉각시켜 수분이 결로하여 제습이 되며, 습도가 내려간다.
- 냉각에 따라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히터 등으로 공기의 온도를 올려야 한다.
예) 습도관리치(셋팅치) : 35~45% 일 경우
- 제습을 위해 공기를 냉각하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계속 낮아지게 되므로 재열히터를 이용하여 온도를 올려야 합니다.
- 그러나 재열히터 용량은 장비의 규격에 맞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실내온도를 올리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난방트러블'이 발생하게 됩니다.
- 또한 제습을 위해 실내온도 관리치를 내리면, 제습한 공기의 노점온도가 낮아지면서(*증감노점온도 5℃정도 이하)
냉각코일에 흐르는 냉매가스의 온도가 0℃ 이하가 되기 때문에 냉각코일 표면에 결로한 물이 얼게 되어 서리로 됩니다.
이 서리가 성장하면 냉각코일이 막혀 공기가 흐르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습능력의 저하를 초래합니다.
조치방법 :
- 습도관리치 조정(* 통상 50%±5%)
- 재열히터 용량을 키워야 함
- 냉동기 증설(용량 키움 ← 콘트로판넬 개조 필요)
'(항온항습)공조시스템 주요정보 > 기술자료(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동싸이클(압축→응축→팽창→증발)의 이해 (0) | 2018.07.02 |
---|---|
압축기의 (고압, 저압 경보) & 어는 현상 (0) | 2018.06.26 |
미세먼지 (0) | 2016.01.08 |
이슬점(dew point) (0) | 2015.11.13 |
황사현상과 미세먼지농도 (0) | 201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