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의 실천"

"기본의 실천, 신뢰와 약속, 진심을 다합니다"

크린부스 258

비타민(vitamin)

요약 1906년 홉킨스가 발견한 후 1911년 풍크가 구체화하고 비타민이라 이름 붙였다. 비타민은 발견 순서에 따라 알파벳을 붙이거나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단어의 머리글자를 붙였다. 수용성인 비타민 B는 체내 작용을 위해 몇 가지 화학반응을 거친다. 비타민 C의 생리학적 기능은 잘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도 불확실하다. 뼈와 치아의 발육, 혈관벽과 피하조직의 유지, 상처의 회복 등의 작용이 알려져 있다. 지용성 비타민은 담즙산염에 의해 장에서 흡수되며 인체는 지용성 비타민을 더 많이 저장하고 있다. 비타민 A는 야맹증을 막아주고, 비타민 D는 칼슘 대사에 필수적이며 비타민 E는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비타민 K는 혈액을 응고시키는 효소과정에 참여한다. [출처 : 백과사전]

Book cafe 2016.03.03

비타민 D(vitamin D)

요약 칼슘과 인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용성 비타민의 하나. 비타민 D는 대부분 태양광선에 의해 만들어지며 음식물로 섭취되는 비타민 D는 많지 않다. 비타민 D는 우유·간·생선·달걀노른자 등에 포함되어 있다. 비타민 D는 유기체의 성장, 특히 뼈의 발육과 관련된 칼슘 대사에 필수적이다. 비타민 D는 구루병이 대구 간유로 치료되면서 치료에 기여한 성분을 비타민 D로 명명한 것이다. 비타민 D는 피부에 있는 스테롤이 태양광선(자외선)을 받으면 생긴다. 스테롤에는 동물의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7-디히드로콜레스테롤과 식물성 기름에 있는 에르고스테롤이 있다. 이 두 화합물은 태양광선을 받으면 각각 칼시페롤(에르고칼시페롤, 비타민 D2)과 콜레칼시페롤(비타민 D3)로 전환된다. 비타민 D는 D1, D2, D3..

Book cafe 2016.03.03

우수(雨水)

요약 24절기의 하나. 내용 입춘과 경칩 사이에 들며, 입춘 입기일(入氣日)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 음력으로는 정월 중기이다. 태양의 황경이 330°의 위치에 올 때이다. 흔히 양력 3월에 꽃샘추위라 하여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미 우수 무렵이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기운이 돋고 초목이 싹튼다. 우수는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날이니, 곧 날씨가 풀린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도 생겨났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간씩 세분하여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즉, 첫 5일간은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한편, 우수 ..

Book cafe 2016.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