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의 실천"

"기본의 실천, 신뢰와 약속, 진심을 다합니다"

크린부스 258

CFM & CMM & CMH

* CFM (Cubic Feet per Minute) :      ft³(입방피트)/min (입방피트 내의 분당 흡입 & 토출 공기량)* CMM (Cubic Meter per Minute) :      ㎥(입방미터)/min (입방미터 내의 분당 흡입 & 토출 공기량)* CMH (Cubic Meter per Hour) :    ㎥(입방미터)/h (입방미터 내의 시간당 흡입 & 토출 공기량)     * CMH ÷ 60 = CMM                                                                        ISO-14644-1 (국제표준화기구) Fed-209E (미연방규격)   Class 3  Class 1 Class 4 Class 10  Class 5 Cla..

압축기의 (고압, 저압 경보) & 어는 현상

압축기 경보 원인 및 조치방법   - 고압 경보  :      0. 증상 : 압축기1,2 이상 경보(알람)      1. 원인 : - 실외기(응축기)의 Fan이 누전이나 고착되어 돌지 않을 경우                 - 냉방용량 부족으로 압축기 과부하                           - 압축기 고장       2. 조치 : - 실외기(응축기)의 Fan 회전상태 확인                 - 경보해제 → 온도,습도 셋팅치를 높게 재설정(임시조치) → 재가동                 - 압축기 점검 및 응축기(실외기) 증설                   (* 응축기 용량 : 폭염 등 이상기후변화/우기철제습 고려 1단계 UP 필요)  - 저압 경보  :      0. 증상 :..

우기철 습도(제습)관리

습도관리와 '난방트러블(제습트러블)'의 관계   장비명 : 항온항습기 or 공조기제습방식 : 냉각제습냉각제습 : - 공기를 냉각하면 상대습도(*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과 그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의 양과의 비)가 올라 노점(결로)에 달한다.- 공기를 계속 냉각시켜 수분이 결로하여 제습이 되며, 습도가 내려간다.- 냉각에 따라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히터 등으로 공기의 온도를 올려야 한다.  예) 습도관리치(셋팅치) : 35~45% 일 경우       - 제습을 위해 공기를 냉각하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계속 낮아지게 되므로 재열히터를 이용하여 온도를 올려야 합니다.      - 그러나 재열히터 용량은 장비의 규격에 맞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실내온도를 올리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